본문 바로가기

교내 개발 공부/겨울방학 코딩테스트 대비 캠프

프로그래밍 기초 | 출력

학교에서 '겨울방학 코딩테스트 대비 캠프 참가자 모집 공고'를 보았다.

내가 앞으로 하게 될 직군에는 파이썬으로 준비하는 코딩테스트 공부가 필요한 것 같았고,

마침 Python 언어 위주로 진행되는 코딩테스트 대비 캠프라기에 신청했다.

 

Code Tree 서비스를 이용하여 진행이 된다.

 

OT 전, 공지에서

NOVICE LOW 중 출력과 입출력 문제를 먼저 풀어보면 좋을 것 같다고 해서

출력 파트를 먼저 공부해 봤다.

 

 

01 출력

: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변경하며 원하는 형태에 맞춰 값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.

 

 

기본 출력 : 화면에 특정 값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.

 

문제 1. Hello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세요.

print("Hello")

 

문제 2. Hello World!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세요.

print("Hello World!")

 

문제 3. He says "It's a really simple sentence".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세요.

print("He says \"It's a really simple sentence\".")

 

문제 4. 

Hello

World

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세요.

print("Hello\nWorld")

 

문제 5. 숫자 3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세요.

print(3)

 

문제 6. 숫자 3과 5를 각각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세요.

print(3, 5, sep=" ")

 

문제 7. Let's go LeebrosCode!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세요.

print("Let's go LeebrosCode!")

 

문제 8.

Hello students!

Welcome to LeebrosCode!

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print("Hello students!\nWelcome to LeebrosCode!")

 

문제 9.

Total days in Year

365

Circumference rate

3.1415926535

print("Total days in Year\n365\nCircumference rate\n3.1415926535")

 

 

변수와 자료형 : 변수를 선언하고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.

 

문제 1. 두 개의 정수형 변수를 선언하고 각각 97, 13 값을 대입하여 출력 형식에 맞게 뺄셈식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주세요.

a, b = 97, 13
c = a - b
print(a, "-", b, "=", c)

 

문제 2. 변수 a, b에 각각 3, 'C'을 넣어주고, 차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세요.

a = 3
b = 'C'
print(a)
print(b)

 

문제 3. 두 개의 정수형 변수를 선언하고 각각 26, 5 값을 대입하여 출력 형식에 맞게 곱셈식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주세요.

a, b = 26, 5
c = a*b
print(a, "*", b, "=", c)

 

 

출력 형식 : 형식에 맞춰 값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.

 

문제 1. 세 개의 정수형 변수를 선언하고 각 변수에 7, 23, 30을 대입한 후 그 변수를 이용하여 덧셈식을 완성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 보세요.

a, b, c = 7, 23, 30
print("%d + %d = %d" % (a,b,c))

 

문제 2. 변수 a, b에 각각 3, 'C'을 넣어주고, 출력 형식에 알맞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.

a, b의 값을 순서대로 출력하되 사이에 "..."을 포함합니다.

a, b = 3, 'C'
print("%d...%c" % (a,b))

 

 

문제 3. 변수 a, b에 각각 3, 'C'을 넣어주고, 출력 형식에 알맞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.

b, a의 값을 순서대로 출력하되 사이에 "!.....!"를 포함합니다.

a, b = 3, 'C'
print("%c!.....!%d" % (b,a))

 

문제 4. 변수 a, b, c에 각각 1, 2, 'C'을 넣어주고, 출력 형식에 알맞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.

a, b, c의 값을 순서대로 출력하되 사이에 "->" 를 포함합니다.

a, b, c = 1, 2, 'C'
print("%d->%d->%c" % (a,b,c))

 

 

소수점 맞춰 출력 : 소수점에 맞춰 값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.

 

문제 1. 추의 무게를 저장할 변수와 달에서의 무게 비율을 저장할 변수를 선언하고, 다음 두 값을 변수에 저장하여 계산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추의 무게 = 13, 달에서 중력의 비율 = 0.165

추의 무게와 달에서 중력의 비율을 곱한 식과 결과를 출력합니다. 이때 실수값은 전부 소숫점 여섯째짜리까지만 표현합니다.

a, b = 13, 0.165
c = a*b
print("%d * %.6f = %.6f" % (a,b,c))

 

문제 2. 실수 a에 값 25.352를 넣어주고, 소수 첫째 자리까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주세요.

첫 번째 줄에는 반올림한 a의 값을 출력합니다.

a = 25.352
print("%.1f" % a)

 

문제 3. 1피트(ft)는 30.48cm이고 1마일(mi)은 160934cm입니다.

9.2피트와 1.3마일을 각각 cm로 변환하여 다음 형식에 맞추어 소수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주세요.

a, b = 30.48, 160934
c, d = a*9.2, b*1.3
print("9.2ft = %.1fcm" % c)
print("1.3mi = %.1fcm" % d)

 

문제 4. 변수 a, b 에 각각 5.26, 8.27 을 넣어주고, 두 수의 곱을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만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.

a, b = 5.26, 8.27
c = a*b
print("%.3f" % c)

 

 

변수 값 변경 : 변수 값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.

 

문제 1.

정수 a에 값 3을 넣어줍니다.

그 후 다시 a에 값 6을 넣어 줍니다.

마지막으로 a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a = 3
a = 6
print(a)

 

문제 2. 정수 a에 값 7을 넣고, 그 후 다시 a에 값 4를 넣어 줍니다. a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a = 7
a = 4
print(a)

 

문제 3. 변수 a에 C 를 넣고, 그 후 다시 a에 T를 넣어 줍니다. a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a = 'c'
a = 'T'
print(a)

 

 

다른 변수로부터 값 변경 : 다른 변수로부터 값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.

 

문제 1. 정수 a에 값 5을 넣고, 정수 b에 값 3을 넣은 뒤, 다시 b의 값을 a에 넣어줍니다. 이 과정을 거친 이후 a, b의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a = 5
b = 3
a = b
print(a)
print(b)

 

문제 2. 정수 a에 값 2를 넣고, 정수 b에 값 6을 넣은 뒤, 다시 b의 값을 a에 넣어줍니다. 이 과정을 거친 이후 a, b의 값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a = 2
b = 6
a = b
print(a)
print(b)

 

문제 3. 변수 a에 3를 넣고, 변수 b에 4를 넣은 뒤, 다시 a의 값을 b에 넣어줍니다. 그 후, a와 b의 값을 곱한 결과값을 출력합니다.

첫 번째 줄에 계산이 끝난 뒤의 a값과 b값을 공백을 두고 출력합니다.

두 번째 줄에 a와 b를 곱한 값을 출력합니다.

a = 3
b = 4
b = a
print(a, end = " ")
print(b)
print(a*b)

 

 

두 변수 값을 교환 : 두 변수 값을 교환하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.

 

문제 1. 정수 a에 값 3을 넣고, 정수 b에 값 5를 넣은 뒤, 두 값을 교환하여 a, b를 출력했을 때 숫자 5, 3이 순서대로 나오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a = 3
b = 5
a, b = b, a
print(a)
print(b)

 

문제 2. 정수 a에 값 2을 넣고, 정수 b에 값 5를 넣은 뒤, 두 값을 교환하여 a, b를 순서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a = 2
b = 5
a, b = b, a
print(a)
print(b)

 

문제 3. 세 정수 a, b, c 에 차례대로 5, 6, 7을 넣고, b에는 a값을 , c에는 b값을, a에는 c값을 넣어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a, b, c = 5, 6, 7
a, b, c = c, a, b
print(a)
print(b)
print(c)

 

 

변수값 동시에 복사 : 여러 변수에 동일한 값을 동시에 넣어주는 방법에 대해 배운다.

 

문제 1. 정수 a, b, c에 각각 값 1, 2, 3을 넣고 c의 값을 a, b에 복사한 뒤, a, b, c 의 값을 차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결과값 a, b, c를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합니다.

a, b, c = 1, 2, 3
a=b=c
print(f"{a} {b} {c}")

 

문제 2. 정수 a, b, c에 각각 값 5, 6, 7을 넣고 c의 값을 a, b에 복사한 뒤, a, b, c 의 값을 차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결과값 a, b, c를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합니다.

a, b, c = 5, 6, 7
a=b=c
print(f"{a} {b} {c}")

 

문제 3. 정수 a, b, c에 차례대로 값 1, 2, 3 을 넣고, 세 정수의 합을 각 정수에 복사한 뒤, a, b, c의 값을 차례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세요.

결괏값 a, b, c를 공백을 사이에 두고 출력합니다.

a, b, c = 1, 2, 3
a=b=c=1+2+3
print(f"{a} {b} {c}")